
올바른 분리배출은 쓰레기 소각량과 매립 양을 줄여 원활한 자원순환을 돕는다. 그런데 막상 쓰레기 분리배출을 할 때면 정확한 분류 기준을 몰라 재활용품 분류하는데 망설이게 된다. 특히 순수 원재료가 아닌 화학합성 재료를 소재로 한 제품은 어디에, 어떻게 버려야 하는지 헷갈리기 마련. 늘 긴가민가하게 만드는 재활용품의 정확한 분리배출법은 다음과 같다.

유통기한 지난 약은 어디에 버려요?

약이나 영양제는 물에 녹을까? 정답은 NO. 약을 그냥 함부로 버릴 경우 항생물질 등이 분해되지 않은 채로 하천이나 토양으로 흘러들어가 환경을 오염시킨다. 더 이상 먹지 않는 약은 한데 모아 가까운 약국이나 보건소에 비치된 폐의약품 수거함에 버려야 한다. 이때 약 포장재는 모두 벗기도록 하자. 시럽, 연고와 같은 액체류 약품은 병에 담아 버려야 한다.

택배 박스 테이프는 어디에 버려요?

비대면 쇼핑이 활발해지면서 택배 서비스 이용률이 증가했다. 편안한 방식의 구매와 수령을 마음껏 누렸다면, 이제 테이프를 깔끔하게 떼도록 하자. 테이프가 붙은 박수는 온전히 재활용되기 힘들다. 벗긴 테이프는 일반 쓰레기 통으로, 종이박스는 분리수거함으로 버려야 한다.

과일망은 어디에 버려요?


광고 전단지는 어디에 버려요?

전단지는 종이 배출이라고 오해받기 쉽다. 하지만 비닐로 코팅된 종이에는 혼합 성분이 함유돼 재활용 품목에서 재외된다. 전단지를 포함해 코팅 종이로 제작된 팸플릿, 카탈로그, 명함 등과 같은 물품 역시 일반쓰레기로 배출해야 한다.

아이스팩은 어디에 버려요?

냉동식품을 배달 받을 때 꼭 남는 쓰레기는 바로 아이스팩. 어떻게 버려야 할지 몰라 냉동고 속에 꽁꽁 감춰두지 말고 일반 쓰레기로 분류하자. 환경부는 아이스팩을 통째로 일반 쓰레기통에 버릴 것을 권고한 바 있다.
분리배출 궁금증, 모바일 앱으로 해결!
'내 손안의 분리배출'

분리배출 기준에 대한 궁금증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쉽게 해결할 수 있다.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내 손안의 분리배출'은 재질별, 품목별, 재활용품 분리배출 요령을 알려준다. 올바른 분리배출 생활화는 깨끗한 우리 지역 환경을 생각하는 친환경 사회를 만드는데 큰 힘을 보탤 수 있다.
장지혜 인턴기자 ss04280@asiae.co.kr